2021년 우리나라의 부동산 전망
- 일단, 현재의 유동성을 해석해보자. 유동성 과잉이라고 볼 수 있는지? 정부가 돈을 많이 풀어서, 금리가 내려가서, 시중에 유동성이 돈이 많이 풀린다고만 본다면 아마도 유동성 "과잉"쪽을 지지하게 될 것이고, 국내 경제가 호황이고, 해외 무역수지 흑자 기조도 계속 유지되고 있다는 것과 관련지어서 본다면 또 다르게 생각해 볼 수 있을 것 같다. - 가계부채가 증가하는 것은 맞다. 다만, 이 역시 가계소득의 증가, 가계 자산의 증가와 비교하면서 보는게 필요하다. - 부동산 가격을 이야기할 때, 특히, 상급지라고 하는 강남, 서초, 송파, 분당....이런 곳을 이야기할 때는 더욱 그런데, 중산층 이상의 가구 소득, 가구 자산을 함께 고려해서 봐야한다. 8학군 출신이고, 남편은 삼성전자, 아내는 SKT를 다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