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70

당뇨가 오면 제일 무서운 것

겪어보니까 다른게 무서운 것이 아니고, 시간이 지나면서무뎌지는게 제일 무서운 것 같다. 연속혈당기로 수시로 혈당 체크하고, 하루에 2만보씩 걷고, 점심은 밖에서 주로 먹으니까 그러지 못하지만, 아침, 저녁은 꼭꼭 샐러드 한봉지 먹고 음식 조심해서 먹으려고 노력하고,밤에 과자 먹고, 콜라/사이다 먹고, 라면 먹는 것을 딱 끊으니까... 혈당도 점차 내려가고 혈당 스파이크도 크게 없고당화혈색소도 정상치 안쪽까지 내려오더라.  그런데 너무 쉽게 내려와서 경각심이 없어진 것도 있겠지만.이게 1년 지나니까 점차 무뎌지고, 아예 요즘은 신경 쓴다고  말만 하지 아무렇게나 살고 있다.  이게 무섭다.

무료 클라우드 스토리지에서 개인정보 보호(1)

무료로 주는 클라우드 스토리지에서 개인정보를 얼마나 보호할 수 있을까?내가 쓴 여러 비망록이나 개인 사진들, 혹은 내가 만들어서 올려놓은 코드들이얼마나 보호되고 있는지 솔직히 알 길이 없다.여기 저기 물어보아도 무료로 주는 것이라면(때로는 유료라도) 그를 이용해서어떠한 수익활동을 할지 알 수 없다는 것이 답변들이고, 믿지 않는 것이 가장 신뢰할만한 개인정보 보고 방법이라고 하는구나.열심히 돌아다니면서 찾은 결과 얻어낸 것은현재까지 발견한 곳 중에서는 여기가 가장 괜찮은 것 같다. Filenhttps://filen.io/r/004d772ef96a83697689009cd5f55b15 Filen – Next Generation End-To-End Encrypted Cloud StorageFilen – Next..

생활의 발견 2024.12.29

물을 끓이면 미세 플라스틱이 감소할까?

웹 서핑 중에 물을 끓이면 미세 플라스틱이 감소하는지에 대한 흥미로운 기사가 있어서 이를 첨부한다. https://www.livescience.com/health/boiling-tap-water-can-remove-nearly-90-percent-of-microplastics-new-study-finds Boiling tap water can remove 90 percent of microplastics Tiny plastic particles float inside tap water, and it's still unclear how they impact our health. But boiling the water for 5 minutes could remove most of them, a new stu..

수도물에서 금속 냄새가 나니까

1. 문득 오늘 집에서 커피를 내려 먹는데, 금속 냄새가 나는 것 같았다. "왜 이래? 커피 머신에 무슨 문제가? " 하면서 자세히 살펴보니 수도물로 커피잔 세척 후에 나는 냄새인 것 같다. 이사온 집이 구축이라 수도관이 좀 걱정이 되기는 했는데, 막상 철분 냄새랄까, 이런 금속 향이 나니까, 아직 나이 어린 아이 키우는 입장에서 신경이 곤두 선다. 2. 한참을 검색했는데, 아쉬운 것은 딱히 완벽한 해결책은 없는 것 같다. 검색해보니 (그동안 믿고 있었던) 정수기의 정수란 것도 일장일단이 있는 듯 한데, 일단 그것은 그렇다 쳐도, 일반 정수기의 정수용량으로는 식기 세척이나 목욕을 하는 물을 감당할 수 없는 것 같다. 여러가지로 고민이 많아지는구나.

패키지 저장 폴더 설정

1. R에서 패키지 저장 폴더 확인 R은 기본적으로 2개의 패키지 저장 폴더가 설정되어 있다. .libPaths() > .libPaths() [1] "C:/Users/AAAA/AppData/Local/R/win-library/4.3" [2] "C:/Program Files/R/R-4.3.3/library" 개인(Lacal) 폴더에 패키지를 설치할 때의 장점은 무엇이 있을까? - 먼저, 패키지 설치에 권리자 권한이 필요한 경우, 폴더를 따로 만들어야 한다. - 또한 R의 여러 버전을 사용하는 경우, 각 버전에 대해 독립적인 패키지 세트를 설치하게 된다. 이를 통해 패키지 버전 충돌을 방지하고, 특정 R 버전에 대한 패키지 종속성을 관리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이렇게 설치하는 것의 단점은 무엇이 있을까? -..

R 2024.03.02

가중평균을 구할 때의 tab과 table 명령어 차이

가중평균을 구할 때, tab과 table 명령어를 사용하여 구한 값에 차이가 생기는데 이 차이에 대해서는 많이 고려하지 않는 것 같다. 가중치의 처리 방식이 달라서 두 값은 다르게 나온다. - tabulate 및 대부분의 Stata 명령어는 aweight를 사용하며, 이는 분석할 때 사용되는 데이터의 관측치 수 N으로 합계를 재조정한 값이다. 따라서 tabulate의 결과는 가중치가 더 작은 n으로 구한 평균값이 된다. - 그러나 table 명령어는 pweight를 사용하는데, 가중치를 재조정하지 않고 원래의 가중치를 그대로 사용한다.

STATA 2024.01.27

lattice 패키지로 그래프를 그릴 때의 팁들

lattice로 그래프 그릴 때의 몇가지 팁들. 1. 축값이 지수함수로 변환되어서 나올 때 - 특별히 설정을 바꾸지 않았는데도 갑자기 축값이 지수함수로 바뀌어서 나올 때가 있다. 그럴 때, 숫자로 설정해주려면 scale에서 다음과 같이 값을 지정해 준다. xyplot(V3 + V4 ~ V2, data = test, scales=list(ylim=c(0,10000))) - y축의 한계( ylim) 를 직접 xyplot 함수에서 설정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이런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지정한다. xyplot(V3 + V4 ~ V2, data = test, ylim=c(0, 5000)) 2. 범주별로 색을 다르게 설정하고자 할 때 - auto.key는 자동으로 구분해주도록 할 때 사용한다 xyplot(hp ~ ..

R 2024.01.08

가중치 부여 시 tab과 table의 결과값이 달라지는 문제

STATA에서 tab aweignt를 사용할 때와 table pweitht를 사용할 때의 결과값이 다르게 나타난다. 이는 빈도표뿐만 아니라 평균 등을 구할 때에도 동일하게 다르다. https://www.statalist.org/forums/forum/general-stata-discussion/general/1393818-weighted-tab-and-table-results-differ Weighted tab and table results differ - Statalist www.statalist.org 이 부분이 다소 애매한데, 명확하게 왜 그런지를 명쾌하게 설명한 포스팅은 아직 찾지 못했다. 위의 포스팅에서는 표준오차 계산에서 차이가 생기기 때문이라고 하고, robust 를 적용했을 때는 두 결과..

STATA 2024.01.07

가중치를 적용한 빈도표 만들기

가중치를 적용한 빈도표를 만들고 싶으면~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18585977/frequency-tables-with-weighted-data-in-r Frequency tables with weighted data in R I need to calculate the frequency of individuals by age and marital status so normally I'd use: table(age, marital_status) However each individual has a different weight after the sampling of... stackoverflow.com 특히 , expss 패키지의 fre 함수를 이용하면, 퍼센티지까..

R 2024.01.02